보도 자료

시흥시의회, 원도심 균형발전 해법 논의..."종상향·취락지구 해제 필요"

언론사 경인매일 작성일 2025.11.12

시흥시의회가 원도심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 해법 마련에 나섰다. 용도지역 상향과 취락지구 해제 등 실질적인 도시계획 조정이 균형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제시됐다. 시흥시의회는 6일 솔내아트센터 솔내홀에서 ‘2025 시흥의정포럼’을 열고 원도심 균형발전 방안을 중심으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지난 8월 열린 ‘뿌리산업 육성 및 고용 활성화’ 포럼에 이은 두 번째 의정포럼이다. 이날 포럼에서는 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가 제안한 ‘원도심 균형발전 방안’을 바탕으로, 도시계획 개선을 통한 주거환경 회복과 지역 경쟁력 제고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김선옥 시의원은 “균형발전은 공정한 조건에서 시작된다”며 “원도심 지역의 용도지역 상향(종상향)과 취락지구 해제를 통해 도시계획을 합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특히 대야동과 신천동 등 원도심의 노후 건축물 비율이 78%에 달하는 현실을 지적하며 “제도 개선과 주민 참여가 병행돼야 상권 침체와 도시 경쟁력 약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부천, 광명, 안산 등 인근 지자체의 종상향 사례를 언급하며 “저밀도 주거지의 종상향과 취락지구 해제가 원도심 회복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주영 시흥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원도심 현황과 발전 과제를, 권진우 경기연구원 도시주택연구실장은 개발제한구역 및 취락지구의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정책적 근거를 제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이소춘 시흥시정연구원장이 좌장을 맡고, 이상훈 시의원, 강성조 시 균형개발과장, 서원석 중앙대 교수, 윤병국 주민대표가 참여해 광역교통과 생활SOC 연계를 포함한 종합적 접근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상훈 의원은 “로컬 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한 상권 활성화가 원도심 재생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다”며 “시와 시민이 협력해 공공 기여와 창의적 상권 조성을 병행한다면 법 개정 이전에도 실질적 재생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주민들이 현장에서 제시한 제안들이 논의의 깊이를 더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김선옥 의원은 “원도심 발전은 행정의 의지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제안제도와 공청회를 통해 생활기반시설 개선, 상권 활성화, 재산권 보호가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용도지역 상향과 취락지구 해제, 단계적 재생을 통해 시흥시 균형발전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기사 내용은 상단 '원문기사보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